콘크리트와 관련 해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자주 언급됩니다. 그런데 이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자갈 중에 가장 큰 것의 치수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자갈 더미에서 가장 굵은 것을 찾아서 치수를 표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많은 자갈을 어떻게 다 체로 쳐서 가장 큰 것을 골라내겠습니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는 체가름 실험을 해서 찾는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체가름 실험을 했을 때 질량으로 90% 이상이 통과한 체 중 최소의 체 치수를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로 사용합니다.
체가름 시험을 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체의 호칭 치수 | 누가 잔류량의 백분률(%) | 통과량(%) |
40 | 5 | 95 |
20 | 9 | 91 |
10 | 30 | 70 |
5 | 90 | 10 |
2.5 | 98 | 2 |
1.2 | 100 | 0 |
0.6 | 100 | 0 |
0.3 | 100 | 0 |
0.15 | 100 | 0 |
위와 같은 조건이라면 10mm 체까지는 통과량이 70%밖에 되지 않았지만 20mm 체가 되면 통과량이 91%가 됩니다. 따라서 20mm 체부터 통과량이 90%가 되었기 때문에, 가장 작은 체의 치수인 20mm를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다음과 같은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구조물의 종류 |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mm) |
일반적인 경우 | 20 또는 25 |
단면이 큰 경우 | 40 |
무근콘크리트 | 40(부재 최소 치수의 1/4을 초과해서는 안 됨) |
일반적인 건축물에는 20mm나 25mm가 사용되겠죠?
순환골재의 품질기준 (0) | 2022.03.19 |
---|---|
골재의 입형(모양)과 단위용적질량 (0) | 2021.10.06 |
골재의 조립률(입도) (3) | 2021.10.06 |
골재의 입도(체가름 시험) (5) | 2021.10.06 |
골재의 밀도 시험(흡수율) (0) | 2021.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