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말뚝을 시공한 후에는 설계 시 가정한 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말뚝 재하시험에는 정재하시험과 동재하시험으로 구분하는데, 정재하시험이 신뢰도가 높습니다. 그 중에서도 실재하 방식(철근 등을 이용해서 최대 시험하중의 110% 이상을 준비해서 재하)이 가장 신뢰도가 높지만 시험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반력말뚝을 이용한 재하시험을 많이 합니다.
여기서는 PHC 말뚝에 실시한 반력말뚝방식의 정재하시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PHC 말뚝 -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위 사진에서 시험한 시험말뚝의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말뚝종류 | 직경 (mm) |
말뚝관입심도 (m) |
시공방법 | 설계하중 (ton/본) |
최대시험하중 (ton/본) |
PHC | 500×80 | 22.5 | D.R.A | 120.0 | 250.0 |
시험장비의 제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두부 정리 : 시험을 실시할 파일과 주변 파일의 두부를 정리합니다. 말뚝 배치가 맞지 않으면 시험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험할 파일위치를 사전에 결정해야 합니다.
원래는 파일머리를 절단한 다음 상부표면을 연마기를 평탄하게 정리하고 에폭시 수지 등으로 말뚝 두부를 보강해야 합니다.
2) 재하프레임 및 재하장치 설치
재하판 설치 ▶ 유압잭 설치 ▶ 레퍼런스 빔 설치 ▶ 재하대 설치 ▶ 하중재하
재하대는 시험하중의 110%를 견딜 수 있고 파괴나 전도되지 않는 안전한 구조를 갖추어야 합니다. 재하대는 시험하는 동안 편심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험말뚝과 재하하중의 무게 중심이 일치하도록 해야 합니다.
3) 측정장치 설치
다이알 게이지는 시험말뚝 본체 양 옆에 부착합니다.
가장 표준적인 ASTM - 1143에 규정된 재하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준적인 재하방법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급속재하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 방법은 2∼5 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급속재하 시험방법은
이외에 반복 하중 재하방법(ASTM D 1143-81(Optional)에 의한 이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앞에서 제시한 방법들은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보통은 한국지반공학회에서 제시한 수정된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재하방법
분류 | 내용 |
최대재하하중 | 설계하중의 200%(즉 2배) |
재하하중단계 | 재하하중은 설계하중의 25%를 단위로 재하한다. |
제하과정 | 제하하중은 설계하중의 50%씩 제하한다. |
하중유지시간 | 침하율이 시간당 0.25mm 이하 또는 최대 2시간까지 하중을 유지한다. |
측정방법
구분 | 범위 및 규정 |
최대재하하중 | 설계하중의 200%(즉 2배) |
재하하중단계 | 9단계 |
싸이클수 | 1 Cycle |
재하단계별 하중지속시간 | 침하율이 시간당 0.25mm 이하 또는 최대 2시간까지 하중을 유지한다. |
제하단계별 하중지속시간 | 각 제하단계별 10분 간격 |
하중단계별 하중지속시간 | 재하와 제하(%) 0-25-50-75-100-125-150-175-200-207-0 |
침하량 기록시간 | 1, 2, 3, 5, 10, 15, 20분 · · · (이후 10분 간격) |
P-S분석법은 하중 - 침하량 곡선에서 하중의 증가에 따라 침하량이 급하게 변하고 있는 하중에 접선을 그려 항복 하중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현장에서는 최대재하하중 재하 시에도 급하게 변하는 하중단계가 나타나지 않고, 일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분석되어 항복 및 극한하중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최대재하하중을 최소항복하중으로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산출하였습니다.
log P - log S 곡선법은 하중 및 침하량을 모두 log 용지에 출력하여 허용지지력을 산정 하는 방법으로, P - S 분석법과
마찬가지로 최종하중을 재하 시 거의 일직선 형태로 분석이 되므로 이 현장의 경우는 항복 및 극한하중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최대재하하중을 최소항복하중으로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산출하였습니다.
S - log (t) 분석법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상에 상향으로 나타나는 하중(즉, 침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하중단계)을 항복 하중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이때 분석표를 보면 상향으로 나타나는 하중단계가 없이 하중선과 평행하게 분석되므로 본 현장의 경우 항복 및 극한하중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최대재하하중을 최소항복하중으로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산출하였습니다.
P - △S/△log(t) 분석법은 하중의 증가에 따른 침하량의 변화를 측정한 후 하중(P)의 변화에 따른 일정 시간의 경과에 따른 침하량의 변화(△S/△log(t))를 일반 산술눈금 용지에 출력한 후 일정한 변화를 보이는 지점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두 직선이 만나는 지점을 항복점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이때 분석표를 보면 상향으로 나타나는 하중단계가 없이 하중선과 평행하게 분석이 되므로 이 현장의 경우는 항복 및 극한하중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최대재하하중을 최소항복하중으로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산출하였습니다.
Davisson's method : Davisson은 파괴기준에 말뚝의 길이를 고려하는 방법으로 말뚝머리의 변위가 그 말뚝의 탄성압축량을 초과하는 상태에서의 하중을 파괴하중으로 계산합니다. 즉, 탄성압축량 Δ =PL/AE 을 0.15 + D/120(in) 만큼 평행이동시킨 선과 침하곡선과의 교점에서 하중을 파괴하중으로 가정하는 방법입니다. 분석결과 본 현장의 경우는 말뚝의 전침하량이 이론적인 말뚝재료의 탄성압축량과 유사한 값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탄성압축량을 0.15 +D/120 (in) 만큼 평행이동 시킨 Davisson'sOffset Line과는 교차하지 않으므로 항복점은 발생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최대시험하중을 최소항복하중으로 가정하여 분석하였습니다. Davisson에 의한 변위계산 결과는 다음 표와 같습니다.
최종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험결과 최대시험하중 재하 시 측정된 시험말뚝의 전침하량은 17.545mm, 잔류침하량 11.455mm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기준치(전침하량 : 25.40mm, 잔류침하량 12.70mm) 이하로 나타났습니다.
기성말뚝의 말뚝머리 정리 - 두부 정리 (2) | 2023.01.13 |
---|---|
말뚝의 동재하시험(E.O.I.D: End Of Initial Driving) (1) | 2022.03.31 |
기초의 종류 - 기초는 어떻게 결정할까? (0) | 2022.03.29 |
원심력 콘크리트 말뚝(PHC말뚝)의 시공 (0) | 2021.04.30 |
PHC 말뚝 - 프리텐션 방식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말뚝 (2) | 2021.04.30 |